성장반
1. 찬송가 350장 '우리들이 싸울 것은"
2. 사순절 공동체 암송하기 ( 하루 한 구절 5회 낭독)
흩어 구제하여도 더욱 부하게 되는 일이 있나니 과도히 아껴도 가난하게 될 뿐이니라 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풍족하여질 것이요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는 자기도 윤택하여지리라 (잠언 11장 24~25절)
3. 소요리 문답
제104문 : 주기도문의 넷째 기원에서 우리는 무엇을 위하여 기도합니까?
답 : 주기도문의 넷째 기원 즉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에서 구할 것은 하나님의 값없이 주신 은사로 이 세상의 좋은 것들 중에서 충분한 분깃을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과 아울러 그의 축복을 누리게 해 주실 것을 우리가 구하는 것입니다. (잠 30:8-9, 10:22; 창 28:20; 시 90:17; 딤전 6:6-8)
제105문 : 주기도문의 다섯째 기원에서 우리는 무엇을 위하여 기도합니까?
답 : 주기도문의 다섯째 기원 즉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에서 구할 것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때문에 우리의 모든 죄를 값없이 용서하여 주시기를 간구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기도할 용기를 얻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마음으로부터 다른 사람들을 용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시 51:1-2, 7, 9; 롬 3:24-25; 눅 11:4; 마 6:14-15, 18:35)
제106문 : 주기도문의 여섯째 기원에서 우리는 무엇을 위하여 기도합니까?
답 : 주기도문의 여섯째 기원 곧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에서 구할 것은 하나님이 우리로 시험을 받아 죄를 범하지 않게 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시험을 당할 때 우리를 도와주시고 구출하여 주시기를 구하는 것입니다. (마 26:41; 시 19:13; 고전 10:13; 시 51:10, 12; 요 17:15)
제107문 : 주기도문의 맺는말은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있습니까?
답 : 주기도문의 맺는말은 “이는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기 때문입니다. 아멘”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기도할 때에 오직 하나님에게서만 용기를 얻고 또한 기도 중에 나라와 권세와 영광을 그에게 돌리면서 그를 찬송할 것을 가르칩니다. 그리고 우리의 소원을 아뢰고 우리의 기도가 응답될 것을 확신하는 뜻으로 우리가 “아멘”하는 것입니다. (단 9:4, 7-9; 대상 29:10-13; 고전 14:16; 계 22:20-21; 빌 4:6)
■ 해설
넷째 간구에서 ‘우리’라는 복수가 사용되었습니다. 이 간구는 홀로 하는 간구가 아니라 공동의 필요를 위해, 상호의 책임감을 가지고, 동정하는 마음으로 기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용할 양식
일용할 양식은 우리가 이 땅에 있는 동안 일시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든 축복입니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지식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하나님의 지식이 필요합니다(약 4:15; 딤전 4:4-5). 우리의 필요에는 모든 영적인 은혜가 포함됩니다(엡 6:11-12). 우리의 필요는 절대적이고 지속적입니다. 그래서 매일 간구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약속은 지속적이며 풍성합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없다면 우리는 삶을 지속할 수 없으며, 은혜 안에서 자랄 수도 없고, 유혹에 저항할 수도 없으며, 봉사를 할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은혜가 있다면 우리는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시 19:13; 요 15:5).
용서에 대한 간구
다섯째 간구는 넷째 간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죄의 힘 아래에 있으며, 오염된 상태이기 때문에 일용할 양식을 위해 기도하는 것과 같이 매일 용서가 필요합니다(시 130:3; 마 3:11; 롬 6:16; 히 12:8). 또한 우리는 죄인으로서 하나님 앞에 무가치한 자들이기 때문에 매일의 용서가 필요합니다(사 6:5). 우리는 죄로 인해 자격이 없는 자들이기 때문에 반드시 그리스도의 은혜를 증거해야 하며(고후 5:9), 은혜로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끼쳐야 합니다(딤전 1:15).
다른 사람을 용서
우리가 서로 용서해야 하는 이유는 이것이 하나님 나라의 법이기 때문입니다(마 5:44, 6:14). 그리고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 연합되어 있으며, 교회의 회원 간에는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고전 12:25, 27). 우리는 계속적으로 다른 사람을 공격하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공격을 받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넘치는 빚을 용서해 주셨고, 서로 사랑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마 18:27, 33-35).
이 기도에서 우리가 다른 사람을 용서해 준 것이 우리가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받는 근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다른 사람을 용서해 주는 것은 은혜의 증거이며 효과입니다. 하나님의 용서는 항상 완전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용서는 언제나 불완전하고, 주저하며, 부분적입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 우리를 용서해 주셨다면 우리는 반드시 다른 사람을 용서하고자 해야 합니다(요일 1:9-10, 3:14).
유혹으로부터 건짐
여섯째 간구도 다섯째 간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유혹을 받습니다. 그래서 죄의 유혹으로부터 건짐을 받기 위해 기도해야 합니다(마 26:41). 우리는 매일 유혹을 받을 때 우리의 연약함을 깨닫고, 실패해 죄를 짓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시 39:10-13; 눅 22:40). 죄의 유혹은 세상과 마귀와 육신으로부터 옵니다. 유혹의 힘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께 유혹으로부터 지켜 달라고 기도해야 합니다. 이 간구가 함축하고 있는 것은 우리가 받는 유혹도 하나님의 조정하심 아래에 있으며, 우리를 유혹하는 자는 결국에는 망한다는 것입니다(계 20:2).
주기도문의 결론
주기도문의 결론은 이 모든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시는 이는 오직 하나님뿐이시라는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기도 응답의 근거가 결코 없다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입니다. 모든 능력이 하나님께 있으며(마 28:18), 그분의 영광을 위해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롬 9:23).
그래서 우리는 어린아이와 같이 계속해서 하나님을 찬양하며,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고, 우리가 가는 순례의 길에서 실망하지 말고, 하나님 나라의 진전을 위해 기도해야 합니다. 또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영원토록 다스려 주시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기도를 하나님께서 들어주시기를 간절히 소망해야 합니다(렘 11:5).
4. 공동체 기도하기 (개인과 교회 / 목장 식구들의 기도제목)
공동체에 속한 분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5. 단체 카톡방에 완료 문자 올리기
예) 40일차 완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