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반
1. 찬송가 312장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2. 사순절 공동체 암송하기 ( 하루 한 구절 5회 낭독)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라 (디모데후서 3장 16절)
3. 소요리 문답
제94문 : 세례가 무엇입니까?
답 : 세례는 물을 가지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씻는 성례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에게 접붙임 되는 것과 은혜 언약의 모든 유익에 참여하는 것과 주님의 것이 된 것을 표시하여 인치는 것입니다. (마 28:19; 롬 6:4; 갈 3:27)
제95문 : 세례는 어떠한 사람에게 베풀어져야 합니까?
답 : 세례는 유형교회 밖에 있는 자에게는 아무에게도 베풀어서는 안 됩니다. 그리스도를 믿고 그에게 복종하겠다는 고백을 할 때 비로소 베풀게 됩니다. 그리고 유형교회 회원의 유아들에게도 베풀어져야 합니다. (행 2:38-39; 창 17:10; 갈 3:17-18, 29; 고전 7:14)
■ 해설
물로 베푸는 세례
세례에 정해진 요소는 물입니다. 성경에서 물은 능력을 의미하기도 하며(시 42:7), 풍성함과 거저 주는 것(시 65:9; 사 55:1), 그리고 생명(사 44:3)을 뜻합니다. 물에 참여한다는 것은 새롭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마 10:42; 계 21:6). 그러나 물을 사람에게 적용할 때는 언제나 깨끗하게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몸을 씻는 것, 의식에서 정결하게 하는 것으로, 영적으로 청결하게 하는 것입니다(행 22:16; 계 1:5). 따라서 신자에게 적용할 때에는 성령에 의해 중생, 혹은 거룩하게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요 3:5; 롬 6:4; 딛 3:5). 세례를 받고자 하시는 자는 반드시 영적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백해야 하며, 그리스도께서 보호해 주시는 것에 대한 갈망과 그분의 은혜로운 약속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세례가 보여주는 것은 죄로부터 정결하게 하는 그리스도의 구속의 효과입니다. 유대인들은 개인적으로 자신의 손과 발에 물을 부어 씻었습니다(왕하 3:11). 모든 정결 의식에는 물을 부었습니다(히 9:13; 출 30:18-19). 이것은 거룩하게 하는 것, 혹은 중생을 나타냅니다(겔 36:25-27; 요일 1:7).
삼위의 이름
세례는 삼위 하나님의 각 위와의 연합을 나타냅니다. 성경은 이스라엘이 홍해를 건넌 것을 모세에게 속하는 세례를 받은 것으로 말합니다(고전 10:2). 세례 요한의 세례는 요한의 제자가 되는 것입니다(요 4:1). 세례 요한의 제자들은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 다시 세례를 받고자 하였습니다(행 19:3-5). 고린도 교회는 바울, 게바, 아볼로에게 속하는 세례로 이해하였습니다(고전 1:12-16). 그리스도인의 세례는 삼위 하나님의 이름으로 받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아버지이시며,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구주이시고, 성령은 우리를 거룩하게 하시는 분이심을 믿고 받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 접붙임
세례는 그리스도께 접붙임 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생명을 받는 것입니다(요 15:5; 롬 11:17). 성령께서는 은혜 언약의 모든 유익을 우리에게 전달해 주십니다(행 2:38-39). 세례는 그리스도에 의해 구원받은 자들이 그리스도께 연합되었다는 것을 증거해 줍니다(고전 12:13-26). 그래서 세례를 ‘교회에 가입되는 의식’이라고 부릅니다. 이제 공개적으로 언약 안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주님의 소유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제 그리스도를 위해 살아야 하며(빌 1:21), 그리스도의 뜻을 행해야 하고, 그분의 성도들을 사랑해야 합니다(고전 12:13).
신앙고백
세례를 받기 위해서는 신앙고백과 순종의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행 8:36). 따라서 세례 후보자는 반드시 자신이 진리를 이해하고 있으며, 그것에 따라 산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신앙고백에 있어서는 삼위 하나님에 대해서, 특별히 구속 사역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중생의 필요성을 말해야 하고, 구원의 효과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 아버지에 의해 양자가 된 것과 그리스도의 보혈에 의한 속죄와 성령에 의한 성화를 고백해야 합니다. 물론 예배에 빠지지 않으며 자신을 하나님께 구별해서 드리는 삶이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신앙고백과 생활을 증거함으로 세례를 받고, 교회의 회원이 되고, 영적 특권을 누리게 됩니다.
유아세례
유아세례는 부모의 신앙고백(행 16:15)을 통해서 유아에게 베푸는 것으로, 그들을 부모와 동일시해 거룩함으로 부르신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엡 6:1-4). 이는 예수님께서 아이들도 교회의 회원이 될 수 있게 하신 것(마 19:14; 눅 18:16)을 근거로 합니다. 유아가 세례를 받음으로 성령의 거룩하게 하심과 중생의 중요성을 증거합니다.
4. 공동체 기도하기 (개인과 교회 / 목장 식구들의 기도제목)
공동체에 속한 분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5. 단체 카톡방에 완료 문자 올리기
예) 36일차 완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