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반
1. 찬송가 321장 '날 대속하신 예수께'
2. 사순절 공동체 암송하기 ( 하루 한 구절 5회 낭독)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일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요한복음 8장 31~32절)
3. 소요리 문답
제96문 : 주님의 성찬이 무엇입니까?
답 : 주님의 성찬은 곧 성례인데 그리스도가 정하신 대로 떡과 포도주를 주고 받음으로 그의 죽음을 나타내 보입니다. 이 성례를 합당하게 받는 자들은 육체와 정욕을 따라 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오직 믿음으로 받으면 그가 주시는 모든 유익과 함께 그의 몸과 피에 참여하여 신령한 양식을 먹고 은혜 속에서 장성하게 됩니다. (마 26:26-27; 눅 22:19-20; 고전 10:16, 11:23-16)
제97문 : 주님의 성찬을 합당하게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답 : 주님의 성찬을 합당하게 받으려면 반드시 주님의 몸을 분별할 줄 아는 지각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주님을 양식으로 삼는 믿음과 회개와 사랑과 새로운 복종심이 자기에게 있는지 없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혹시 부당하게 참여하여 먹고 마심으로 심판을 당할까 염려되기 때문입니다. (고전 11:27-31; 요 6:53-56; 요일 4:19; 갈 5:6; 롬 6:4, 17-22)
■ 해설
주의 성찬
성찬을 ‘주의 만찬’이라 하기도 하며(고전 11:20), ‘주의 식탁’(고전 10:21), ‘성만찬’(고전 10:16), ‘축복의 떡과 잔’(고전 10:16)이라고도 합니다. 성찬은 유월절 제사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복음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나타내는 것입니다(마 26:26; 고전 11:23). 이것은 유월절 양의 피로 애굽에서 건지심을 기념하며, 그리스도의 보혈로 인한 죄 사함을 나타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유월절 희생양이십니다(고전 5:7).
요소들
성경에서 떡은 영양을 공급해 우리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것입니다(마 6:11). 그리스도께서는 만나에 대해서 언급하셨습니다(요 6:50). 그리스도의 몸은 우리의 영적인 삶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영원토록 지속시켜 줍니다(요 6:32-58).
포도주는 성경에서 기쁨을 상징합니다. 유대인들은 가족 모임이나 사회적인 모임에서 포도주를 사용하였습니다(요 2:3). 그리고 감사 제사를 드릴 때 포도주를 사용하였습니다(출 29:40). 물론 포도주는 슬픔과 고난을 상징하기도 합니다(렘 25:15; 사 51:17; 계 14:10).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를 짊어지고 고통 받으며 피를 흘리셨기에 우리는 주의 성찬을 통해서 구속에 대해 감사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주의 성찬을 제정하실 때 먼저 떡과 포도주에 축복하셨습니다(마 26:26-28; 고전 11:23-29).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몸과 피를 나타내려고 일반적인 용도에서 거룩한 용도로 구별하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떡과 포도주에 축복하신 것은 구원이 성취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고전 10:16-17; 갈 3:1). 떡을 떼고 포도주를 붓는 것은 우리의 죄가 용서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떡과 포도주를 받습니다. 이때 받는다는 것은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구원을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것과 하나님의 구속의 은혜를 거저 받는 것임을 기억하게 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구원이 필요하다는 고백이며, 죄의 용서와 영적인 삶과 성장에 있어서 그리스도를 전적으로 의지한다는 고백입니다.
또한 주의 성찬을 함께 취함으로써 그리스도 안에 우리가 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줍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사랑하고, 그리스도를 섬기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고전 10:16-22). 예수님께서는 성찬을 마치고 함께 노래를 부르셨습니다(마 26:30).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을 경험하신 것입니다.
요소들
성경에서 떡은 영양을 공급해 우리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것입니다(마 6:11). 그리스도께서는 만나에 대해서 언급하셨습니다(요 6:50). 그리스도의 몸은 우리의 영적인 삶을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영원토록 지속시켜 줍니다(요 6:32-58).
포도주는 성경에서 기쁨을 상징합니다. 유대인들은 가족 모임이나 사회적인 모임에서 포도주를 사용하였습니다(요 2:3). 그리고 감사 제사를 드릴 때 포도주를 사용하였습니다(출 29:40). 물론 포도주는 슬픔과 고난을 상징하기도 합니다(렘 25:15; 사 51:17; 계 14:10).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를 짊어지고 고통 받으며 피를 흘리셨기에 우리는 주의 성찬을 통해서 구속에 대해 감사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주의 성찬을 제정하실 때 먼저 떡과 포도주에 축복하셨습니다(마 26:26-28; 고전 11:23-29).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의 몸과 피를 나타내려고 일반적인 용도에서 거룩한 용도로 구별하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떡과 포도주에 축복하신 것은 구원이 성취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고전 10:16-17; 갈 3:1). 떡을 떼고 포도주를 붓는 것은 우리의 죄가 용서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우리는 떡과 포도주를 받습니다. 이때 받는다는 것은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구원을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것과 하나님의 구속의 은혜를 거저 받는 것임을 기억하게 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그리스도의 구원이 필요하다는 고백이며, 죄의 용서와 영적인 삶과 성장에 있어서 그리스도를 전적으로 의지한다는 고백입니다.
또한 주의 성찬을 함께 취함으로써 그리스도 안에 우리가 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줍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서로 사랑하고, 그리스도를 섬기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고전 10:16-22). 예수님께서는 성찬을 마치고 함께 노래를 부르셨습니다(마 26:30).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을 경험하신 것입니다.
4. 공동체 기도하기 (개인과 교회 / 목장 식구들의 기도제목)
공동체에 속한 분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5. 단체 카톡방에 완료 문자 올리기
예) 37일차 완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