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반 목자반
창조절 묵상과 함께 하는 감사의 40일 - 셋째날
1. 찬송가 62장
2. 창조절 묵상집 읽기
3일차
제목: 너희는 임시 거주자일 뿐
본문: 레위기 25:23-28
“땅을 아주 팔지는 못한다. 땅은 나의 것이다. 너희는 다만 나그네이며, 나에게 와서 사는 임시 거주자일 뿐이다. 너희는 유산으로 받은 땅 어디에서나, 땅 무르는 것을 허락하여야 한다. 네 친척 가운데 누가 가난하여, 그가 가진 유산으로 받은 땅의 얼마를 팔면, 가까운 친척이 그 판 것을 무를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것을 무를 친척이 없으면, 형편이 좋아져서 판 것을 되돌려 살 힘이 생길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판 땅을 되돌려 살 때에는, 그 땅을 산 사람이 그 땅을 이용한 햇수를 계산하여 거기에 해당하는 값을 빼고, 그 나머지를 산 사람에게 치르면 된다. 그렇게 하고 나면, 땅을 판 그 사람이 자기가 유산으로 받은 그 땅을 다시 차지한다. 그러나 그가 그 땅을 되돌려 살 힘이 없을 때에는, 그 땅은 산 사람이 희년이 될 때까지 소유한다. 희년이 되면, 땅은 본래의 임자에게 되돌아간다. 땅을 판 사람은, 그 때에 가서야 유산 곧 분배받은 그 땅을 다시 차지할 수 있다.”
Lectio (말씀에 귀 기울이기)
레위기 25장은 ‘희년(Jubilee)’에 대한 말씀입니다. 이 희년의 정신은 분명합니다. 땅은 하나님의 것이며, 사람은 그저 임시로 빌려 사는 나그네라는 것입니다. 본문에서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땅은 나의 것이다. 너희는 다만 나에게 와서 사는 임시 거주자일 뿐이다." 이 한마디는 인간의 소유욕과 권리의식을 근본에서 흔듭니다.
하나님은 가난한 자의 땅이 되돌아갈 수 있도록 ‘무를 권리’를 주시고, 그조차도 안 되면 희년에 땅이 본래의 임자에게 돌아가게 하십니다. 그것은 소유의 질서를 뛰어넘는 창조 질서의 회복입니다.
Meditatio (의미 되새기기)
“우리는 땅을 소유할 수 없다.”
이 말은 성경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한 토착 공동체, 시애틀 추장의 말에서도 같은 진리를 듣습니다. “어떻게 하늘을 사고팔 수 있단 말인가? 어떻게 대지의 온기를, 신선한 공기를 소유할 수 있단 말인가? … 우리는 대지의 일부분이며, 대지 또한 우리의 일부분이다.”(창조절 묵상집에서..)
우리는 하나님께 받은 땅을 함부로 대하고, 마음대로 팔고, 끝없이 개발하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말씀하십니다. “땅은 내 것이다. 너희는 임시 거주자다.”
우리는 생명의 거미집 한 가닥에 불과합니다. 우리가 거미집을 찢을 때, 결국 그 해는 우리에게 돌아옵니다. 그렇게 찾아온 결과가 기후 위기, 토양의 사막화, 사라지는 생물 종들…
이 모두는 우리가 하나님의 땅을 자기 소유물처럼 다룬 결과입니다. 오늘 말씀은 우리에게 도전합니다. “너는 어디에 속해 있는가? 정말 주인이 누구라고 믿고 있는가?”
Oratio (응답의 기도)
하나님, 이 땅이 주님의 것임을 고백합니다. 우리는 땅의 주인이 아니라, 임시 거주자요 청지기입니다. 우리에게 맡기신 자연과 자원을 정복이 아닌 섬김으로, 소유가 아닌 돌봄으로, 탐욕이 아닌 책임으로 다루게 하소서. 땅을 사고팔기 전에, 그 땅 위에서 울고 있는 생명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시고, 희년의 회복과 정의를 이루어가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Contemplatio (적용의 묵상)
오늘 하루, 이렇게 질문해 보십시오:
나는 이 세상을 소유물로 보고 있는가, 아니면 하나님의 선물로 받고 있는가?
내가 사용하는 자원, 내가 밟고 사는 이 땅, 내가 내는 쓰레기… 그 모든 것이 누군가의 생명과 연결되어 있음을 기억하고 있는가?
작은 실천을 시작해 보십시오. 소유가 아니라 돌봄의 태도로 대지와 피조물을 대합니다. 버려진 땅을 돌아보고, 생명을 위협하는 소비를 줄이고, 한 생명, 한 존재 앞에 “당신도 하나님의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태도를 살아봅니다.
창조절은 단순한 환경주의가 아닙니다. 창조 세계 속에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다시 듣는 절기입니다. 그 말씀은 이렇게 속삭입니다: “너희는 나그네며, 임시 거주자일 뿐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자는, 이 세상의 질서 속에 안주하지 않습니다. 그는 희년을 기다리며, 오늘도 회복과 정의, 평화와 생명을 살아냅니다.
3. 매일 5가지 감사 내용 기록하기
4. 개인과 교회를 위해 기도하기
- 개인, 목장, 교회를 위해 기도하기
5. 공동체에 은혜 나눔
- 감사한일 하나를 카톡으로 나누기
- ‘감사’가 꼭 들어가야 합니다.
예) 창조주 하나님을 깊이 묵상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첨부 파일 |
|---|---|---|---|---|
| 공지 | 4단계 제자훈련반 - "풍성한 삶의 기초" | 조영춘 | 2019-07-04 | |
| 공지 | 3단계 리더반 - "생명을 살리는 리더의 삶" | 수채화조 | 2016-01-21 | |
| 공지 | 2단계 성장반 - "그리스도인으로 가는 길" | 수채화조 | 2015-05-22 | |
| 공지 | 1단계 확신반 (새가족 축복 안내서) | 수채화조 | 2015-05-21 | |
| 51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아홉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50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여덟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9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일곱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8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여섯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7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다섯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6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네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5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세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4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두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3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물 한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2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스무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1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열아홉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40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열여덟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39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열일곱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38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열여섯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
| 37 | 창조절 묵상과 함께하는 감사의 40일 - 열다섯 번째날 | 임다윗 | 2025-10-28 |



댓글